아프리카 에볼라 출혈열 환자 발생 급증-에볼라 Q&A
- 작성일
- 2014.08.06 19:27
- 등록자
- 김OO
- 조회수
- 647
최근 에볼라 발생의 주요발생국은 서아프리카 지역의 라이베리아, 기니, 시에라리온입니다. 에볼라가 주변 아프리카 국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기는 하나 우리나라 국민에게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입니다.
○ 에볼라바이러스, 치명적인 감염병의 기준과 전파력은?
- 전염력과 치사율로 판단할 수 있는데, 에볼라바이러스는 치사율이 최대 90%에 달할 만큼 높습니다. 그러나 에볼라 치사율은 높지만 전파력이 약해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처럼 전세계적으로 대유행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입니다.
○ 에볼라의 감염증상은 어떠한가?
- 감염되면 전신에 출혈이 나타나면서 면역체가 파괴되고 1주일에서 10일 사이에 쇼크나 혼수상태, 출혈 등으로 사망할 정도로 진행이 빠릅니다. 치료제가 없어 환자가 발생하면 철저히 격리해서 2차 감염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공기를 통해 에볼라 전파가 가능한가?
- 아닙니다. 에볼라는 독감 같은 호흡기 질환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공기를 통해 전파되지 않습니다.
○ 에볼라에 감염되었으나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사람으로부터 에볼라가 감염될 수 있는가?
- 아닙니다. 증상을 나타내지 않을 때에는(잠복기) 감염이 이뤄지지 않습니다. 바이러스가 전파되기 위해서는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로부터 직접적인 접촉이 이뤄져야 합니다.
○ 에볼라 백신이 아직 개발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 에볼라출혈열이 전세계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만 발생을 하다보니 백신개발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 미국 국립보건원의 백신연구센터 연구팀이 9월에 임상실험을 수행할 예정에 있다. 또한 영국케임브리지대 열대의학연구소 연구팀이 백신 연구를 주도하고 있으며 DNA 백신제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국내 또는 한국인에 에볼라 발병 사례가 있는가?
- 없습니다. 절대 발생하지 않도록 검역대책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서아프리카 3개국은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는가?
- 감염환자가 여객기를 통해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아프리카 현지에서 해당 정부와 WHO가 교육 및 적극적인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기니 공항에서는 모든 승객을 대상으로 에볼라증상(발열) 검사를 하며, 보건관계자들이 승객 개개인 마다 면담을 통해 대응을 철저히 하고 있습니다.
○ 현재 질병관리본부에서 조치하고 있는 대책은 어떤 것이 있는가?
- 지난 4월부터 바이러스출혈열(에볼라) 대책반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에볼라출혈열 국내유입 대비 대응지침’을 수립하여 전국 검역소,시도 및 시군구 감염병 담당 부서에 배포하였습니다.
- 또한, 각 발생국가 입국자에 대한 추적조사를 실시하고, 해외여행객을 대상으로 전국 국립검역소 및 해외공관 등을 통한 홍보와 국내 유입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모의 훈련 실시 및 실험실 안전등급을 승격하여 진단검사 가동준비를 완료하였습니다.
- 에볼라출혈열 국내 감시강화를 하기 위해 응급실증후군 감시체계를 통한 국내 유입환자 여부 모니터링과 전국 의료기관, 보건소, 및 시·도에 대한 에볼라출혈열 관련 신고·보고를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질병관리본부 및 국립검역소에서는 지자체 및 유관기관과 신속대응체계를 강화하였습니다.
- 한편, 최근의 상황을 감안하여 외교부가 기니(7.31일자), 라이베리아와 시에라리온 전지역(8.1일자)에 대하여 각각 특별여행경보를 발령하고, 우리 국민들이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을 방문하지 말 것과 해당 국가들에 거주 중인 우리 국민들은 조속히 안전한 국가로 대피할 것을 권고하였습니다.
* 외교부 보도자료 참고[재외동포영사국 공보홍보담당관(02-2100-7565)]
○ 앞으로의 질병관리본부 대책은 무엇인가?
- 해외 에볼라출혈열 발생동향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여 실시간으로 정보수집 및 대책을 마련할 것입니다.
- 에볼라 발생국가 입국자에 대한 추적조사도 지속 실시할 것입니다.
- 현재, WHO는 여행제한 권고를 내리지는 않은 상태이며, 8.6일 긴급위원회를 개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WHO 회의 결과를 토대로 국제 공조를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